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28

[무기화학] 2장. 원자 구조 (2.2 Schrödinger 방정식(3)) 2.1 원자 이론의 역사적 발전 2.1.1 주기율표 2.1.2 원자구성 입자(Subatomic Particles)의 발견과 Bohr 원자 2.2 Schrodinger 방정식 2.2.1 상자 속 입자(Particle in a Box) 2.2.2 양자수와 원자 파동함수 2.2.3 쌓음 원리 2.2.4 가려막기 2.3 원자의 주기적 성질 2.3.1 이온화 에너지 2.3.2 전자 친화도 2.3.3. 공유 반지름과 이온 반지름 2.2 Schrodinger 방정식(2) 2.2.3 쌓음 원리 - 쌓음 원리(aufbau principle) - 원자 내 전자 쌓임은 양자수를 차례로 증가시켜 얻게 됨 - 양자수의 조합은 전자가 하나인 수소 원자 내 전자의 행동을 정확히 나타냈었음 - 그러나, 다전자 원자에서는 전자 간 상.. 2023. 11. 3.
[무기화학] 2장. 원자 구조 (2.2 Schrödinger 방정식(2)) 2.1 원자 이론의 역사적 발전 2.1.1 주기율표 2.1.2 원자구성 입자(Subatomic Particles)의 발견과 Bohr 원자 2.2 Schrodinger 방정식 2.2.1 상자 속 입자(Particle in a Box) 2.2.2 양자수와 원자 파동함수 2.2.3 쌓음 원리 2.2.4 가려막기 2.3 원자의 주기적 성질 2.3.1 이온화 에너지 2.3.2 전자 친화도 2.3.3. 공유 반지름과 이온 반지름 2.2 Schrodinger 방정식(2) 2.2.2 양자수와 원자 파동함수 - 상자 속 입자의 예 : 일차원에서 파동함수가 어떻게 작용하는가를 보여줌 - 수학적으로 원자 궤도함수는 삼차원 Schrödinger 방정식의 각각의 해 - 일차원 상자에서 사용한 동일한 방법을 삼차원 원자에 대해 .. 2023. 11. 3.
[무기화학] 2장. 원자 구조 (2.2 Schrödinger 방정식(1)) 2.1 원자 이론의 역사적 발전 2.1.1 주기율표 2.1.2 원자구성 입자(Subatomic Particles)의 발견과 Bohr 원자 2.2 Schrodinger 방정식 2.2.1 상자 속 입자(Particle in a Box) 2.2.2 양자수와 원자 파동함수 2.2.3 쌓음 원리 2.2.4 가려막기 2.3 원자의 주기적 성질 2.3.1 이온화 에너지 2.3.2 전자 친화도 2.3.3. 공유 반지름과 이온 반지름 2.2 Schrodinger 방정식(1) - 1926년과 1927년 Schrödinger와 Heisenberg는 매우 다른 수학적 기법을 사용한 파동역학(원자 내 전자의 파동 성질 설명)에 관한 논문 각각 발표 - 서로 다른 접근법을 사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이론이 서로 같았음 - S.. 2023. 11. 2.
루이스 전환점(Lewisian turning point)이란? 루이스 전환점(Lewisian turning point)이란? :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아서 루이스가 제기한 개념으로 개발도상국이 산업화 초기에 농촌의 값싼 인력이 도시의 산업 분야로 유입되면서 급속한 경제 발전을 이루지만 일정 시점에 이르면 임금 인상과 저임금 근로자의 고갈로 경제 성장세가 꺾이는 현상을 뜻한다. 루이스 전환점에 이르면 인건비와 자본비용이 급등하면서 '고비용-저효율' 구조로 바뀌므로 성장세가 둔화된다. 2023. 11. 2.
오프쇼어링(off-shoring) 오프쇼어링(off-shoring) : 기업들이 인건비나 판매 시장을 찾아 해외로 생산기지를 옮기는 현상 2023. 11. 2.
리쇼어링(reshoring)이란? 리쇼어링(reshoring)이란? : 싼 인건비나 판매 시장을 찾아 해외로 진출한 기업들이 다시 본국으로 되돌아오는 현상을 말한다. 오프쇼어링의 반대말이다. 2023. 11.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