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시사 상식27 가산금리(Spread)란? 가산금리(Spread)란? : 기준금리에 신용도 등의 차이에 따라 달리 덧붙이는 금리. 예를 들어 은행이 대출금리를 결정할 때 고객의 신용위험에 따라 조달금리에 추가하는 금리를 말한다. 한편, 이것도 일종의 스프레드이다. 일반적으로 신용도가 높으면 가산금리가 낮고, 신용도가 낮으면 가산금리는 커진다. 2023. 11. 7. 스프레드(Spread)란? 스프레드(Spread)란? : 채권시장에서 비교대상이 되는 금융상품의 기준금리에 대비한 차이를 스프레드라고 한다. 보통 해외에서 채권을 발행할 때 동일한 만기의 미국 국채(Treasury Bond)나 리보(LIBOR, 런던은행간금ㄹ)가 기준금리가 되고 여기에 신용도 등에 따라 스프레드가 붙어서 발생되는게 보통이다. 2023. 11. 7. 가변예치의무제도(VDR; Variable Deposit Requirement)란? 가변예치의무제도(VDR; Variable Deposit Requirement)란? : 외국으로부터 유입된 자금에 대해 일정 비율의 예치의무를 부과함으로써 국경 간 자본 유출입의 규모와 속도를 조절하는 수단. 단기간에 대규모로 이루어질 경우 환율 또는 증권가격의 급등락을 불러와 경제 안정을 해칠 수도 있음. 이러한 부ㅜ작용을 완화하기 위한 제도의 하나. 2023. 11. 7. 루이스 전환점(Lewisian turning point)이란? 루이스 전환점(Lewisian turning point)이란? :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아서 루이스가 제기한 개념으로 개발도상국이 산업화 초기에 농촌의 값싼 인력이 도시의 산업 분야로 유입되면서 급속한 경제 발전을 이루지만 일정 시점에 이르면 임금 인상과 저임금 근로자의 고갈로 경제 성장세가 꺾이는 현상을 뜻한다. 루이스 전환점에 이르면 인건비와 자본비용이 급등하면서 '고비용-저효율' 구조로 바뀌므로 성장세가 둔화된다. 2023. 11. 2. 오프쇼어링(off-shoring) 오프쇼어링(off-shoring) : 기업들이 인건비나 판매 시장을 찾아 해외로 생산기지를 옮기는 현상 2023. 11. 2. 리쇼어링(reshoring)이란? 리쇼어링(reshoring)이란? : 싼 인건비나 판매 시장을 찾아 해외로 진출한 기업들이 다시 본국으로 되돌아오는 현상을 말한다. 오프쇼어링의 반대말이다. 2023. 11. 2. 이전 1 2 3 4 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