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쯔비터이온1 [분석화학] 10장. 다양성자성 산-염기 평형 (10-1. 이양성자성 산과 염기 (1)) 목차 10-1. 이양성자성 산과 염기 10-2. 이양성자성 산의 완충 용액 10-3. 다양성자성 산과 염기 10-4. 어느 것이 주 화학종인가? 10-5. 분율 조성식 10-6. 등전 pH와 등이온 pH 10-1. 이양성자성 산과 염기 (1) 다양성자성 산과 염기(polyprotic acid and base) : 두 개 이상의 양성자를 주거나 받을 수 있는 것들 이양성자성(diprotic) : 두 개의 산성 또는 염기성 자리를 갖는 것 - 주어진 pH에서 우세한 화학종이 어떤 것인지 생각해볼 것 이양성자성 산과 염기 아미노산(amino acid) : 단백질의 구성 단위로, 산성의 카복실기와 염기성의 아미노기, 그리고 R로 표시되는 여러 치환기 갖고 있음 - 카복실기가 암모늄기보다 산성이 강하므로, 비이온.. 2023. 10. 22. 이전 1 다음 반응형